렌트 vs 구입

집 문제입니다.
현재 이사계획중이었는데 렌트비와 집값이 세상 무서운지 모르고
끝도 없이 오르고 있어서 어찌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현재 렌트비 2천 후반대 내고 있습니다.
이사 알아보며 검색하니 마음에 드는 집들 죄다 3천 중반이네요.
이전엔 렌트비 내는거나 집 구입해서 발생되는 관리비,텍스등을 고려했을때
현실적인 지출로만 보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해서 집을 구입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알아본적도 없는데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하며 살았어요..)
요즘들어 코비드 이후로 예전처럼 저축하기가 많이 어렵네요.
물가도 많이 오르고 취미생활은 꿈도 못 꾸겠구요.
그래서 집을 차라리 사는걸 알아보려합니다.
집을 한번도 구입해본적이 없습니다.
하우스를 생각중입니다.
1M정도 가능할듯 합니다.
1.구입 시 집 가격을 제외한 부가적인 비용이 무엇무엇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
2.재산세 납부 시 집을 소유하면 연간 재산세 관련 텍스비용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알려주세요.
(자세한 계산법 말고 집값의 몇%정도다 - 이정도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스쿨텍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특수한 텍스들이 어떠한게 있는지, 지역마다 다른건지 알려주세요.
4.뉴욕근교의 그레잇넥,사요셋 등 학군 높고 좋다고 하는 동네들 외에 괜찮은 동네가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한인들이 모여사는곳 근처로 찾는중입니다.)
5.고정 관리비(조경 등등)가 연간 얼마정도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고장,수리제외)
제가 모르는게 많아 질문이 이상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답변주시면 렌트와 구입중 어떤것이 저희 가족에게 좋을지 결정해보려 하니 양해부탁드립니다.
모든분들 어려운시기 힘내시고 화이팅 하시기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ichie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1.구입 시 집 가격을 제외한 부가적인 비용이 무엇무엇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
렌트 살때와 마찬가지로 유틸리티 비용이 제일 크고 노후된곳 수리비가 들어가게 되는게 잘 지어진 집이라면 크게 걱정 할것 없고 허리케인이나 자연재해 때문에 발생하는 데메지는 주택보험으로 커버 가능합니다.
2.재산세 납부 시 집을 소유하면 연간 재산세 관련 텍스비용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알려주세요.
(자세한 계산법 말고 집값의 몇%정도다 - 이정도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건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모게지에 포함이 되어 있으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3.스쿨텍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특수한 텍스들이 어떠한게 있는지, 지역마다 다른건지 알려주세요.
그건 너무 많아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나중에 부동산 에이전트와 상의 하세요.
4.뉴욕근교의 그레잇넥,사요셋 등 학군 높고 좋다고 하는 동네들 외에 괜찮은 동네가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한인들이 모여사는곳 근처로 찾는중입니다.)
이것도 에이전트와 상의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5.고정 관리비(조경 등등)가 연간 얼마정도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고장,수리제외)
보통 이웃과 같은 조경 회사를 쓰게 되면 따로 부르는곳 보다 저렴하게 할수 있습니다. 일년에 천불 이하로 보시면 됩니다.
집을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재산을 가지게 되는겁니다. 다운한 돈도 집에 걸려 있고 이자와 함께 내는 원금도 집에 쌓여 있어서 나중에 되팔거나 할때 큰 자산이 되는 거죠. 또한 자동차 보험도 집 보험과 연계 하면 더 저렴해 지고 내 집이라는 생각에 더 애착을 가지고 꾸밀수 있습니다. 집의 구입은 돈을 벌때 사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나중에 은퇴 했을때 집 만큼 큰 자산이 없기 때문 입니다. 주식이 많다면 별개의 문제이겠씁니다만..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