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멘토링

rollingBanner
rollingBanner

렌트 vs 구입

물방울갯수 10

집 문제입니다.


현재 이사계획중이었는데 렌트비와 집값이 세상 무서운지 모르고

끝도 없이 오르고 있어서 어찌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현재 렌트비 2천 후반대 내고 있습니다.

이사 알아보며 검색하니 마음에 드는 집들 죄다 3천 중반이네요.


이전엔 렌트비 내는거나 집 구입해서 발생되는 관리비,텍스등을 고려했을때

현실적인 지출로만 보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해서 집을 구입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알아본적도 없는데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하며 살았어요..)


요즘들어 코비드 이후로 예전처럼 저축하기가 많이 어렵네요.

물가도 많이 오르고 취미생활은 꿈도 못 꾸겠구요.

그래서 집을 차라리 사는걸 알아보려합니다.


집을 한번도 구입해본적이 없습니다.

하우스를 생각중입니다.

1M정도 가능할듯 합니다.


1.구입 시 집 가격을 제외한 부가적인 비용이 무엇무엇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


2.재산세 납부 시 집을 소유하면 연간 재산세 관련 텍스비용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알려주세요.

(자세한 계산법 말고 집값의 몇%정도다 - 이정도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스쿨텍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특수한 텍스들이 어떠한게 있는지, 지역마다 다른건지 알려주세요.


4.뉴욕근교의 그레잇넥,사요셋 등 학군 높고 좋다고 하는 동네들 외에 괜찮은 동네가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한인들이 모여사는곳 근처로 찾는중입니다.)


5.고정 관리비(조경 등등)가 연간 얼마정도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고장,수리제외)


제가 모르는게 많아 질문이 이상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답변주시면 렌트와 구입중 어떤것이 저희 가족에게 좋을지 결정해보려 하니 양해부탁드립니다.

모든분들 어려운시기 힘내시고 화이팅 하시기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비공개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Queens 미국생활 조회수 932 신고 신고하기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10점과 물방울 10개를 드립니다.

님, 멘토가 되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10점과 물방울 10개를 드립니다.

Richie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금별 채택 119 채택율 11.6% 질문 1 마감률 0%
menu

1.구입 시 집 가격을 제외한 부가적인 비용이 무엇무엇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

렌트 살때와 마찬가지로 유틸리티 비용이 제일 크고 노후된곳 수리비가 들어가게 되는게 잘 지어진 집이라면 크게 걱정 할것 없고 허리케인이나 자연재해 때문에 발생하는 데메지는 주택보험으로 커버 가능합니다.


2.재산세 납부 시 집을 소유하면 연간 재산세 관련 텍스비용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알려주세요.

(자세한 계산법 말고 집값의 몇%정도다 - 이정도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건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모게지에 포함이 되어 있으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3.스쿨텍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특수한 텍스들이 어떠한게 있는지, 지역마다 다른건지 알려주세요.

그건 너무 많아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나중에 부동산 에이전트와 상의 하세요.


4.뉴욕근교의 그레잇넥,사요셋 등 학군 높고 좋다고 하는 동네들 외에 괜찮은 동네가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한인들이 모여사는곳 근처로 찾는중입니다.)

이것도 에이전트와 상의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5.고정 관리비(조경 등등)가 연간 얼마정도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고장,수리제외)

보통 이웃과 같은 조경 회사를 쓰게 되면 따로 부르는곳 보다 저렴하게 할수 있습니다. 일년에 천불 이하로 보시면 됩니다.


집을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재산을 가지게 되는겁니다. 다운한 돈도 집에 걸려 있고 이자와 함께 내는 원금도 집에 쌓여 있어서 나중에 되팔거나 할때 큰 자산이 되는 거죠. 또한 자동차 보험도 집 보험과 연계 하면 더 저렴해 지고 내 집이라는 생각에 더 애착을 가지고 꾸밀수 있습니다. 집의 구입은 돈을 벌때 사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나중에 은퇴 했을때 집 만큼 큰 자산이 없기 때문 입니다. 주식이 많다면 별개의 문제이겠씁니다만.. ㅎㅎ

1.구입 시 집 가격을 제외한 부가적인 비용이 무엇무엇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

렌트 살때와 마찬가지로 유틸리티 비용이 제일 크고 노후된곳 수리비가 들어가게 되는게 잘 지어진 집이라면 크게 걱정 할것 없고 허리케인이나 자연재해 때문에 발생하는 데메지는 주택보험으로 커버 가능합니다.


2.재산세 납부 시 집을 소유하면 연간 재산세 관련 텍스비용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알려주세요.

(자세한 계산법 말고 집값의 몇%정도다 - 이정도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건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모게지에 포함이 되어 있으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3.스쿨텍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특수한 텍스들이 어떠한게 있는지, 지역마다 다른건지 알려주세요.

그건 너무 많아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나중에 부동산 에이전트와 상의 하세요.


4.뉴욕근교의 그레잇넥,사요셋 등 학군 높고 좋다고 하는 동네들 외에 괜찮은 동네가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한인들이 모여사는곳 근처로 찾는중입니다.)

이것도 에이전트와 상의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5.고정 관리비(조경 등등)가 연간 얼마정도 들어가는지 알려주세요.(고장,수리제외)

보통 이웃과 같은 조경 회사를 쓰게 되면 따로 부르는곳 보다 저렴하게 할수 있습니다. 일년에 천불 이하로 보시면 됩니다.


집을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재산을 가지게 되는겁니다. 다운한 돈도 집에 걸려 있고 이자와 함께 내는 원금도 집에 쌓여 있어서 나중에 되팔거나 할때 큰 자산이 되는 거죠. 또한 자동차 보험도 집 보험과 연계 하면 더 저렴해 지고 내 집이라는 생각에 더 애착을 가지고 꾸밀수 있습니다. 집의 구입은 돈을 벌때 사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나중에 은퇴 했을때 집 만큼 큰 자산이 없기 때문 입니다. 주식이 많다면 별개의 문제이겠씁니다만.. ㅎㅎ

비공개 님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쌍금별 채택 168 채택율 7% 질문 38 마감률 0%
menu
  1. 1. 클로징 비용이 1만불에서 2만불 사이 들어가신다 보면 됩니다.
  2. 2. 재산세 지역마다 다르니.. 구매시 브로커에서 문의하시면 됩니다.
  3. 3.4 그레잇넥, 사요셋, 제리코... 등등은 대략 1년 세금이 2만불 넘습니다. 집마다 다 다르니 구매하고자 하는 집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4. 5. 조경은 월 100불 정도...



  1. 1. 클로징 비용이 1만불에서 2만불 사이 들어가신다 보면 됩니다.
  2. 2. 재산세 지역마다 다르니.. 구매시 브로커에서 문의하시면 됩니다.
  3. 3.4 그레잇넥, 사요셋, 제리코... 등등은 대략 1년 세금이 2만불 넘습니다. 집마다 다 다르니 구매하고자 하는 집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4. 5. 조경은 월 100불 정도...



Sean Kim at KW Realty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동별 채택 4 채택율 12.9% 질문 0 마감률 0%
menu

괜찮으시다면 직접 뵙고 상담해드리겠습니다.

현재 뉴욕 정식 Licensed Agent/Realtor이고 롱아일랜드에서 20년넘게 거주하여 이런저런 정보를 알려드릴수있습니다.

원하시는 여건에 맞춰 집을 찾으실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347-903-7640


연락/문자주세요.

괜찮으시다면 직접 뵙고 상담해드리겠습니다.

현재 뉴욕 정식 Licensed Agent/Realtor이고 롱아일랜드에서 20년넘게 거주하여 이런저런 정보를 알려드릴수있습니다.

원하시는 여건에 맞춰 집을 찾으실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347-903-7640


연락/문자주세요.

kenygolf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금별 채택 106 채택율 22.3% 질문 12 마감률 0%
menu

클로징 비용은 평균 만불에서 만오천 (집값 백만불일때)

주택가격이 백만불 일때 가정입니다

주택세금 그레잇넥 $18,000 에서 $20,000 (오천스퀘어 미만 ,만스퀘어 정도면 $25,000까지 올라갈수도 ^^)

참고로 저의 지인은 삼백만 주택(새로건축)인데 오만불 정도 내고 있습니다

사요셋 도 비슷합니다 ( 참고로 질로우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파는집들과 세금에 관한 정보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플러싱 과 베이사이드 $10,000


롱아일랜드는 주택관리에 컴파니를 쓰는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주택전체 사이즈가 너무 크기 때문이지요

한달에 백불 정도 잡으시면 됩니다 겨울제외하고


퀸즈는 사이즈가 보통 오천스퀘어 위아래 이므로 본인이 관리하시면 돈별로 안들어갑니다 겨울에는 잔디 깍지않고 넘어갑니다

컴파니를 쓰시면 보통$80 정도 ㅋㅋ


전기세와 히팅 은 보통 한달에 평균 $300 이상


물세는 한달평균 $100


저의 의견은 그냥 참고용 입니다


직접 질로우 라는 앱을 다운받으셔서 원하시는 지역쪽에 서치하시면 아주 정확하게 정보가 나옵니다



클로징 비용은 평균 만불에서 만오천 (집값 백만불일때)

주택가격이 백만불 일때 가정입니다

주택세금 그레잇넥 $18,000 에서 $20,000 (오천스퀘어 미만 ,만스퀘어 정도면 $25,000까지 올라갈수도 ^^)

참고로 저의 지인은 삼백만 주택(새로건축)인데 오만불 정도 내고 있습니다

사요셋 도 비슷합니다 ( 참고로 질로우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파는집들과 세금에 관한 정보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플러싱 과 베이사이드 $10,000


롱아일랜드는 주택관리에 컴파니를 쓰는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주택전체 사이즈가 너무 크기 때문이지요

한달에 백불 정도 잡으시면 됩니다 겨울제외하고


퀸즈는 사이즈가 보통 오천스퀘어 위아래 이므로 본인이 관리하시면 돈별로 안들어갑니다 겨울에는 잔디 깍지않고 넘어갑니다

컴파니를 쓰시면 보통$80 정도 ㅋㅋ


전기세와 히팅 은 보통 한달에 평균 $300 이상


물세는 한달평균 $100


저의 의견은 그냥 참고용 입니다


직접 질로우 라는 앱을 다운받으셔서 원하시는 지역쪽에 서치하시면 아주 정확하게 정보가 나옵니다



Yahooo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금별 채택 97 채택율 12.8% 질문 92 마감률 0%
menu


위에 말씀하신 지역말고도 Port Washington, Plainview도 좋은 동네니 zillow.com을 통해서 서치해보고 주말에 open house도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Great Neck쪽은 집값이 너무 많이 올랐더라구요.. ㅠㅜ


특히 Port Washington은 학군도좋치만 주변에 바닷가가 많아서 야트들도 많이보이고 healing 되는 공간이 많습니다. 예쁜 공원들과 산책길도 ..

한인분들도 그 근방으로(Manhasset) 꽤 많이 사시고 한인교회도 있구요.

여러모로 살기에 아주 좋은동네입니다.


참고로만 해주세요 ~


P.S. 그리고 집은 살수있는 조건과 형편이오면 무조건 사는게 좋다는게 제 견해입니다. 집은 가장 안정적인 은퇴Plan입니다. 10년전에 제 아는분이 혹시라도 뉴욕에 집값 떨어질까봐 망설이고 고민하다가 결국 포기했었죠. 그후론 집값이 너무올라 인젠 못산다고 땅을 치고 후회합니다. 아마도 똑같은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 있을겁니다.


원글님 본인에게 맞는 좋은 동네와 집 잘고르시길 기원합니다 ..




위에 말씀하신 지역말고도 Port Washington, Plainview도 좋은 동네니 zillow.com을 통해서 서치해보고 주말에 open house도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Great Neck쪽은 집값이 너무 많이 올랐더라구요.. ㅠㅜ


특히 Port Washington은 학군도좋치만 주변에 바닷가가 많아서 야트들도 많이보이고 healing 되는 공간이 많습니다. 예쁜 공원들과 산책길도 ..

한인분들도 그 근방으로(Manhasset) 꽤 많이 사시고 한인교회도 있구요.

여러모로 살기에 아주 좋은동네입니다.


참고로만 해주세요 ~


P.S. 그리고 집은 살수있는 조건과 형편이오면 무조건 사는게 좋다는게 제 견해입니다. 집은 가장 안정적인 은퇴Plan입니다. 10년전에 제 아는분이 혹시라도 뉴욕에 집값 떨어질까봐 망설이고 고민하다가 결국 포기했었죠. 그후론 집값이 너무올라 인젠 못산다고 땅을 치고 후회합니다. 아마도 똑같은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 있을겁니다.


원글님 본인에게 맞는 좋은 동네와 집 잘고르시길 기원합니다 ..



비공개 님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답변

동별 채택 1 채택율 3.4% 질문 9 마감률 0%
menu

질문자는

렌트냐 사는거냐 물어보는데

댓글이 숫자 놀이나 하거나 아니면 부동산업자나 건수 딸라고 달려나 드냐 ㅋㅋㅋ


옛말에 미국은

렌트나 모게지나 거기서 거기라는 말이 늘 있어왓습니다.


그말이 집산사람들한테는 뭔 개소리냐 하면서 위로를 할거지만


솔직히 틀린옛 한인 어른들의 말이 아닌거 같습니다.

지금 집값이 올라서 거기에 렌트도 올라서 걱정에 집없는 사람은 서러움까지 더해져서

지금 질문자와 같은 생각을하는 사람 많습니다.


부동산 안좋아하는 인종 없으며 다 부동산으로 돈벌면 쉽고 좋죠

하지만 한국이란 나라는 그게 유달리 심하고 덕을 봐서 부자 된사람이 옛날에도 요즘도 많죠

뭐 아파트죠 아니면 꼬마 빌딩이나... 뭐 서울이든 경기도든 대도시에 사놓으면 몇달 몇년안에 몇억씩 몇십억씩 올랏으니

그걸 보고 학습한 한국 사람이 미국에도 적용하면 되는줄 아는데 미국 집값은

절대 한국과 다릅니다. 몰라요 멘하탄이나 엘에이 대도시의 아파트 콘도면 비슷한 효과를 누릴수 잇으나 롱알랜드 뉴저지

이근교의 하우스에서는 하우스 사서 집값 올라서 돈벌어서 부자 되는건 희박하다 생각합니다.

이유는 너무 많으니 생략하고


그렇기에 미국집은 내가 안정적이면 그떄 다운부어서 모게지 몇십년 값아 나가는모델로 가야합니다.

(뭐 여기서 부자, 현금부자 이런케이스는 뺴구요) 그런데 저것도 내가 직장인이다 안정적 수입이 있다

투자처가 없다 그럼 집이라도 사놓자 이런 컨셉... 근데 요즘은 돈이 은행에 넣어 놓던지 어디 박아 놓으면 거지 되요..

즉 집에 박에 놓아도 자산가치의 변동? 내 돈은 그대로인데 내친구는 뭐 투자해서 돈벌엇다? 그럼 나는 가난해 지는거죠

그래서 집에 꼴아 박아 놓는다? 그건 너무 옛날 생각 아니간 합니다... 투자할곳이 있다 그럼 얘기가 다르죠..

비지니스니, 뭐 주식이니...

만약 자영업자다? 직장인보다 더 안정적이어야 집사는거라 생각합니다... 자영업자는 비지니스를 위해 돈이 있어야하고

또 투자를 위해 준비되어여하고... 그런데 집에다가 다운부터 박고 있으면.... 좋은 경제흐름이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서 이런걸 고려하면 렌트가 편하고 부담이 적죠.....

질문자는

렌트냐 사는거냐 물어보는데

댓글이 숫자 놀이나 하거나 아니면 부동산업자나 건수 딸라고 달려나 드냐 ㅋㅋㅋ


옛말에 미국은

렌트나 모게지나 거기서 거기라는 말이 늘 있어왓습니다.


그말이 집산사람들한테는 뭔 개소리냐 하면서 위로를 할거지만


솔직히 틀린옛 한인 어른들의 말이 아닌거 같습니다.

지금 집값이 올라서 거기에 렌트도 올라서 걱정에 집없는 사람은 서러움까지 더해져서

지금 질문자와 같은 생각을하는 사람 많습니다.


부동산 안좋아하는 인종 없으며 다 부동산으로 돈벌면 쉽고 좋죠

하지만 한국이란 나라는 그게 유달리 심하고 덕을 봐서 부자 된사람이 옛날에도 요즘도 많죠

뭐 아파트죠 아니면 꼬마 빌딩이나... 뭐 서울이든 경기도든 대도시에 사놓으면 몇달 몇년안에 몇억씩 몇십억씩 올랏으니

그걸 보고 학습한 한국 사람이 미국에도 적용하면 되는줄 아는데 미국 집값은

절대 한국과 다릅니다. 몰라요 멘하탄이나 엘에이 대도시의 아파트 콘도면 비슷한 효과를 누릴수 잇으나 롱알랜드 뉴저지

이근교의 하우스에서는 하우스 사서 집값 올라서 돈벌어서 부자 되는건 희박하다 생각합니다.

이유는 너무 많으니 생략하고


그렇기에 미국집은 내가 안정적이면 그떄 다운부어서 모게지 몇십년 값아 나가는모델로 가야합니다.

(뭐 여기서 부자, 현금부자 이런케이스는 뺴구요) 그런데 저것도 내가 직장인이다 안정적 수입이 있다

투자처가 없다 그럼 집이라도 사놓자 이런 컨셉... 근데 요즘은 돈이 은행에 넣어 놓던지 어디 박아 놓으면 거지 되요..

즉 집에 박에 놓아도 자산가치의 변동? 내 돈은 그대로인데 내친구는 뭐 투자해서 돈벌엇다? 그럼 나는 가난해 지는거죠

그래서 집에 꼴아 박아 놓는다? 그건 너무 옛날 생각 아니간 합니다... 투자할곳이 있다 그럼 얘기가 다르죠..

비지니스니, 뭐 주식이니...

만약 자영업자다? 직장인보다 더 안정적이어야 집사는거라 생각합니다... 자영업자는 비지니스를 위해 돈이 있어야하고

또 투자를 위해 준비되어여하고... 그런데 집에다가 다운부터 박고 있으면.... 좋은 경제흐름이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서 이런걸 고려하면 렌트가 편하고 부담이 적죠.....

kenygolf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 님께서 집구입시 들어가는 비용과 세금 유지비 등을 대충 알려달라고 질문하셨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우리 한인들이 주택을 많이 구입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왜냐면 5만불에서 10만불 정도로 투자하기엔 집이 가장 안정적이라 생각됩니다 어치피 집은 빚으로 시작되는 투자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모기지 갚느라 위험한 투자 못하고 ~ 주택모기지 낼때는 힘들지만 오랜시간이 지나면 그래도 집이 남는거 같습니다 저의 경험이 일반화 될수는 없겠지만 특히나 뉴욕같은곳에서 생존하기에는 그래도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Yahooo Fully Charged! - 정상 사용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도 kenygolf님과 같은 생각입니다